오늘은 청년 내일 채움 공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만 15세~34세까지 가입이 가능한 청년 내일 채움 공제는 사회초년생에게는 월 125,000원 으로 1200만원의 목돈마련의 기회를 중소기업의 작은 기업에게는 정부지원금도 받으면서 고용유지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 정책입니다. 어떤 건지 자세히 알아보고 신청 조건과 신청방법을 한번 알아보겠습니다.
청년내일 채움공제 신청 조건 및 혜택
청년 내일 채움 공제는 해당 조건이 충족된 회사에 입사 후 6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. 하지만 6개월이 지났거나 해당 조건인 나이가 이미 넘어가 버린 사람을 위한 조건도 있습니다. 청년 재직자 채움 공제 내일 채움 공제인데요. 같이 알아보겠습니다.
청년내일 채움공제(2년)
신청 조건
- 만 15세~만 34세(군필자라면 최대 만 39세까지 적용)
- 고용보험 가입이력이 없거나 최종학교 졸업 후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총 12개월 이하
- 월급여 300만 원 미만 중소기업 정규직 취업
- 대상 기업은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5인 이상 중소기업이어야 해당.
- 소비향락업 부동산업 비영리 기업 제외.
- 정규직으로 취업 후 6개월 이내 신청.
혜택
- 매월 2년 동안 125,000원씩 적금을 들면 2년 만기 시 1200만 원 + 이자금의 목돈 마련 가능
- 정부에서 600만 원 기업에서 300만 원 자기부담 적금 300만원 = 1200만 원 + 이자
- 단 기업은 기업 규모에 따라 기업부담금이 달라지는데 아래 표와 같음.
기업규모 | 기업부담금 (매월 125,000원 기준) | 기업지원금 (6개월단위 적립) | 총합계 | ||
비율 | 금액 | 비율 | 금약 | ||
30인미만 | 0% | 매월 0원 | 100% | 6개월 750,000원 | 2년 만기시 3,000,000원 |
30~49인 | 20% | 매월 25,000원 | 80% | 6개월 600,000원 | |
50~199인 | 50% | 매월 62,500원 | 50% | 6개월 375,000원 | |
200인이상 | 100% | 매월 125,000원 | 0% | 0원 |
- 위 표와 같이 정부와 기업이 지원금 지원해 매일 125,000원으로 총 1200만 원 +이자의 목돈 마련이 가능하게 됨.
청년 재직자 채움공제(5년)
신청 조건
- 기본 유형에 따름
- 6개월 이상 재직 중
- 5년 만기
혜택
- 적금 본인부담액 12만 원으로 60개월 총 3천만 원의 목돈 마련 가능
- 기업 매월 20만 원*60개월 = 1,200만 원 정부 3년간 7회로 나뉘어 1,080만 원 적립
- 본인부담 720만 + 기업 1,200만 + 정부 1,080만 = 3,000만 원 목돈 마련 가능.
내일 채움 공제(5년)
신청 조건
- 기본 유형에 따름
- 34세 이상 6개월 이상 재직 중
- 매월 근로자와 사업주가 34만 원 이상 납부해야 함
- 5년 만기
혜택
- 5년간 매월 34만 원 이상씩 납부 근로자 1: 사업자 2 비율로 납부하게 됨.
- 내가 납입한 금액 대비 3배 이상 수령 가능
- 기업의 혜택은 기업 납임금 전액 비용 인정
- 연구인력개발비 세액 공제 적용
청년내일 채움공제 신청방법
청년 낸 일 채움 공제 신청은 간단하게 3가지 단계로 진행이 됩니다. 먼저 워크넷 또는 운영기관을 통해 취업을 하고 참여 신청 후 청약신청을 합니다. 주의할 점은 취업 후 6개월 이내에 신청을 해야 합니다.
워크넷 또는 운영기관
워크넷에는 청년 내일 채움 공제 신청이 가능하다고 표시를 해둔 회사가 따로 있습니다. 확인 후 면접을 본 다음 취업을 하면 됩니다. 운영기관은 각 지역별로 운영기관이 있습니다. 운영기관별로 신청인 원수가 정해져 있는데 빠르게 신청해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하는 게 중요합니다.
워크넷 바로가기 ▶ 워크넷
내 해당 지역 운영기관 검색하기 ▶ 운영기관 검색
참여 신청 및 청약신청
특별히 어려운 건 없고 참여 신청후 청년공제 청약 홈페이지 에서 청약 신청을 하면됩니다. 이후 매월 125,000원씩 적금을 들면 됩니다.
참여 신청 바로 하러 가기 ▶ 참여신청
청약신청 바로 하러가기 ▶ 청약신청
청년내일 채움공제 중도해지 또는 만기
무사히 만기가 되어 혜택을 온전히 받아볼 수 있으면 좋겠지만 의지와 상관없이 중도해지를 하게 될 수 있습니다. 이럴 때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청년내일 채움공제 중도해지 시
중도 해지 시에는 2가지 경우가 있겠죠 내가 사표를 쓴 경우와 회사에서 잘랐거나 분명하게 부당한 대우를 받아 어쩔 수 없이 나온 경우가 있습니다.
- 기업 귀책 시 내가 납부한 금액+지원금까지 받아서 나올 수 있습니다.(금액은 개월 수마다 다름)
- 내가 사표를 내고 나온 경우 내가 납부한 금액만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- 12개월 이상 근속했다면? 내 가납 부한 금액에 지원금(개월 수만큼)과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.
- 중도해지 시 기업에서 받던 정부지원금은 0원이며 기업부담금으로 쌓이고 있던 돈은 돌려받습니다.
아래 표를 보고 중도해지시 받을 수 있는 금액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.
구분 | 가입기간 1~6개월 | 가입기간 6~12개월 | 가입기간 12~18개월 | 가입기간 18~24개월 |
청년귀책 | 0 | 0 | 160만원 및 이자 | 230만원 및 이자 |
기업귀책 | 20만원 및 이자 | 50만원 및 이자 |
청년내일 채움공제 만기 시
- 정부에서 600만 원 기업에서 300만 원 본인적금액 300만원 +2년간의 이자까지 받을 수 있음
- 2년 만기 후에는 만기 공제금을 신청해서 수령하거나 내일 채움으로 연장해서 직장생활을 이어나갈 수 있음
당연한 이야기지만 별 탈 없이 만기를 채웠다면 엄청난 혜택과 선택까지 할 수 있습니다. 내가 다니는 회사가 맘에 든다 면 내일 채움으로 연장해서 혜택도 더 쌓아나갈 수 있고 계속 일을 하면 됩니다.
이렇게 청년 내일 채움 공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이렇게 좋은 혜택이 있지만 종종 이를 악용하는 회사가 있을 수 있습니다. 평균적으로 4명 중 1명은 중도해지를 한다고 하는데요. 불합리한 금로 계약 또는 임금 삭감, 부당한 대우 또는 과한 업무를 받는다거나 폭언 등으로 힘든 일 이 있을 수 있는데요. 그럴 때는 해당 상담센터로 연락해 상담을 해보시기 바랍니다.
직장 내 괴롭힘 상담센터 : 1522-9000
권익보호센터 : 1644-9990
댓글